2024년 2차 청년 매입임대주택 입주 모집 공고가 지난 주 목요일에 떴습니다. 총 공급호수 552호(신규공급 324호, 재공급 228호) 입니다. 무주택 대학생, 취업준비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입주 신청을 받습니다.
매입임대주택은 SH서울주택공사와 LH에서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해 민간주택을 매입하여 임대하는 정책으로, 청년 대상과 일반 대상 임대주택으로 나뉩니다. 감정평가액의 30~50%의 임대조건으로 저렴하게 주거할 수 있는 정책으로, 조건에 맞으시는 대학생, 취준생, 청년분들은 집을 구하고 계시다면 상세히 공고를 살펴보시고 신청해보세요.
공급 대상 주택 지역 |
강남구 도곡동, 강동구 명일동, 강동구 성내동, 강동구 암사동, 강동구 천호동, 강북구 미아동, 강북구 수유동, 강북구 우이동, 강서구 화곡동, 관악구 신림동, 관악구 봉천동, 광진구 구의동, 광진구 자양동, 구로구 오류동, 구로구 개봉동, 구로구 고척동, 구로구 구로동, 금천구 독산동, 금천구 시흥동, 도봉구 방학동, 동대문구 장안동, 동대문구 제기동, 서대문구 연희동, 서대문구 북가좌동, 서초구 서초동, 서초구 양재동, 서초구 반포동, 동작구 상도동, 성동구 용답동, 성북구 장위동, 성북구 정릉동, 송파구 가락동, 송파구 문정동, 송파구 석촌동, 송파구 풍납동, 송파구 오금동, 송파구 삼전동, 송파구 방이동, 양천구 신월동, 양천구 목동, 영등포구 영푱동6가,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 영등포구 문래동5가, 중구 필동2가, 중구 장충동 1가, 은평구 응암동, 중랑구 목동, 중랑구 망우동 |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 일정과 신청 자격, 선정 방법 아래에 요약해두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꼭 모집 공고 전문 확인하시고 신청하세요!
1. 공급일정
- 신청 전 주택공개(현장 방문) : 2025년 1월 13일 (월) ~ 2025년 1월 17일 (금)
- 인터넷 청약신청 : 2025년 1월 20일 (월) 10:00 ~ 2025년 1월 22일 (수) 17:00
- 서류심사대상자 발표 : 2025년 1월 24일 (금) 17:00
- 서류심사대상자 입주자격 심사 : 2025년 5월 까지 진행
- 당첨자 계약 : 2025년 6월 9일 (월) ~ 2025년 6월 12일 (목)
- 입주기간 : 2025년 6월 30일 (월) ~ 2025년 8월 28일 (목)
2. 임대 기간 및 임대 조건
- 임대기간 : 2년, 재계약 4회 가능 (최대 10년 거주 가능)
- 임대보증금 : 청년 기본 임대보증금 적용, 대학생·취업준비생 100만원(200만원) 별도 적용
- 임대료 : 1순위 감정평가액의 30%, 2·3순위 감정평가액의 50%
- 재계약 조건
- 입주 후 신청유형이 변경되어도 재계약 가능하나 변경된 유형에 따른 임대조건으로 재계약 진행
- 입주 후 혼인한 경우 2년 단위로 5회 추가 연장계약 가능 (최장 20년 거주)
3. 신청 자격
1) 공통
- 공고일 현재(2024년 12월 26일 기준) 무주택자인 미혼 대학생, 취업준비생, 청년
- 신청순위 별 소득, 총 자산, 자동차가액 기준 충족 필요
2) 대학생
-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에 재학(입주지정기간만료일 이후 최초 도래 학기 복학 및 입학예정자 포함) 중인 자
- 인정 대학교
-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방송대학,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기술대학 등
- 교육부장관의 인가를 받은 고등기술학교(전공대학)
- 단, 사내대학, 학점은행대학, 대학원, 대학원대학은 제외
- 졸업유예자, 대학원생은 대학생 유형 제외 (요건 충족 시 취업준생으로 지원 가능)
3) 취업준비생
- 대학 또는 고등·고등기술학교 졸업(졸업유예자 포함)하거나 중퇴 후 2년 이내인 사람으로서 직장에 재직 중이지 않은 자
- 인정 대학교
-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방송대학,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기술대학 등
- 단, 사내대학, 학점은행대학, 대학원, 대학원대학은 제외
- 인정 고등·고등기술학교
- 고등학교, 고등기술학교, 방송통신고등학교, 특수학교, 대안학교, 검정고시 등 동등 학력 인정자
- 중학교, 해외고등학교는 제외
4) 청년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도 청년 유형 선택하여 지원 가능
4. 신청 순위
1) 1순위
-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가구
- 지원대상 한부모 가족
- 차상위계층 가구
[출처 : LH 집 찾기 블로그]
2)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 본인과 부모의 자산이 국민임대주택의 자산기준을 충족 (총자산 3억 4,500만원 이하, 개별 자동차 3,708만원 이하)
2) 3순위
- 1·2순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 중 본인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 본인의 자산이 행복주택(청년)의 자산기준을 충족 (총자산 2억 7,300만원 이하, 개별 자동차 3,708만원 이하)
5. 가점
1) 공통
- 부모 무주택 2점
- 장애인(본인) 2점
- 장애인(가구) 1점
- 청약저축 또는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횟수
- 24회 이상 납입 3점
- 12회 이상 24회 미만 2점
- 6회 이상 12회 미만 1점
2) 1순위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3점
- 지원대상 한부모 가족 3점
2) 2·3순위
- 소득기준 50% 이하 3점
6. 신청 방법
- SH 인터넷 청약시스템 https://www.i-sh.co.kr/ 에서 인증(간편 인증 가능) 후 서약서,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자세한 주택 정보 및 소득 및 자산 심사 기준은 모집 공고에서 PDF 파일을 확인하세요
'서울땅에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차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모집! 청년계층 신청자격, 선정 방법 (0) | 2024.12.27 |
---|